과거에는 건물이나 토지의 넓이를 측정할 때 평(坪)이라는 단위를 사용했지만, 지난 2007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요청에 따라 평 대신 ㎡(제곱미터)를 공식단위로 사용하고 있다. 사실 평은 일제의 잔재이다. 그동안 전 세계적으로 오직 일본과 한국에서만 평을 도량형 표기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다른 나라에서는 대부분 제곱미터를 법정단위로 활용하고 있다. 참고로 평방미터는 제곱미터와 완전히 동일한 개념으로 역시나 예전에 많이 사용했다. 제곱미터의 구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싶다.
평은 일제의 잔재라는 문제 외에도 면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1평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1간(間)이라는 단위를 베이스로 만들어졌기에 아리송한 반면,1㎡(=1m×1m)는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1간은 1.818182m로, 1평은 3.305785㎡(=1.818182m×1.818182m)가 된다. 그래서 1평을 흔히 3.3㎡ 정도라고 하는 것이다. 업체에 따라 1평을 ㉮ 3.3㎡, ㉯ 3.3058㎡, ㉰ 3.305785㎡ 등으로 다르게 적용한다. 문제는 이 소수점자리(0.005785㎡) 때문에 큰 평형에서는 생각보다 큰 면적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반대로 1㎡을 평으로 환산하면, 엄밀하게는 0.3025000113437평이지만, 애초에 평으로 환산하는 것 자체가 대략 어느 정도의 크기인지 가늠하기 위함이므로, 너무 낮은 단위의 소수점까지 계산하는 것은 실익이 없다. 따라서 보통은 0.3평 혹은 0.3025평으로 계산한다.
워낙 오랫동안 평을 써왔기 때문에, 제곱미터만을 봐서는 솔직히 대략적인 크기가 감이 안온다. 그래서 부동산개발사나 분양사 등에서는 PY(=pyoung=평)라는 표시로 병행표기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꼼수가 나오게 된 배경은 평을 공식으로 사용 시 과태료를 물어야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10년 6월부터 신문광고에 평을 표기할 경우 과태료를 부과했으며, 2013년 1월부터는 인터넷 광고로 까지 그 범위를 확대시켰다.)
제곱미터를 평으로 빠르게 환산방법
제곱미터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도량형 표기이며, 실제로 내가 머물고 있는 베트남도 제곱미터를 법정단위로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에 익숙한 한국인들에게는 제곱미터가 솔직히 덜 직관적인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제곱미터에서 평으로 빠르게 환산하는 방법을 알아두면, 여러모로 많은 도움이 된다.
① 일단, 일의 자리를 반올림한다. 예를 들어 59㎡는 일의 자리가 9이므로, 반올림하면 60이 된다. ② 이후 일의 자리는 삭제한다. 60의 일의 자리는 0이므로, 삭제하면 6이 된다. ③ 여기에 3을 곱하면 대략적인 평이 나온다. 6에 3을 곱하면 18이므로, 59㎡는 대략 18평이라 할 수 있다. 실제 평수는 17.8475평이지만, 크기를 가늠하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다. 궁극적으로는 자주 사용하는 전용면적들의 대략적인 평수는 그냥 암기하는 것을 추천한다. 어차피 3~4개 정도밖에 안된다.
호치민 지역별 특징 (+호치민 지도)
많은 사람들이 베트남의 경제수도 호치민시를 보통 호치민이라 부르는데, 엄밀하게는 잘못된 표현이다. 정식명칭은 탄포 호치민(Thành phố Hồ Chí Minh) 혹은 Ho Chi Minh City다. 다만, 외국인들이나
timeforaction.tistory.com
호치민 7군 아파트 집값, 매매가 TOP 15 총정리 (+베트남 한인타운)
베트남에 머물다 보니 관련 영상들을 자주 찾아보는데, 베트남을 리뷰하는 유튜버들 중에 정말 대단한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특히, 호치민 2군과 7군의 아파트 집값을 아예 나래비 세워 정리한
timeforaction.tistory.com